Foreign travel/Finland

[북유럽여행/핀란드여행] 헬싱키 #3 - 원로원광장&헬싱키대성당

수지인 2018. 10. 21. 01:00



8월 23일 (목요일)


호텔(상트뻬쩨르부르크) - 상트뻬쩨르부르크~헬싱키간 이동 - 마켓광장(Market Square) - 원로원광장(Senate Square) - 우스펜스크사원(Uspenskin Tuomiokikko) - 암석교회(Temppeliaukio Church) - 시벨리우스 공원 - 투르크로 이동 - 바이킹라인 승선




 마켓광장에서 불과 5분거리에 헬싱키의 정치, 문화, 경제 중심지 원로원 광장이 자리잡고 있다.

광장 중앙에는 러시아황제 알렉산더2세(Alexander II of Russia) 동상이 있으며, 뒷편 높은 곳에 헬싱키 대성당, 좌측에 헬싱키대학 박물관과 핀란드 국립도서관이 자리잡고 있고, 우측에 정부궁, 전면에는 상업용 건물들로 가득하다.


아래 사진은 헬싱키대성당 앞에서 원로원 광장을 본 풍경이다.



원로원 광장과 그 일대는 헬싱키 시내에서 가장 오래된 지역이다. 광장 앞으로 트램이 통행한다.



대성당 앞에는 행사준비로 분주한 모습이다.



러시아 황제 알렉산더2세 동상이다. 이 분이 헬싱키를 핀란드의 수도로 정했다고 한다.

핀란드의 옛 수도는 오후에 통과하게될 투르크였다.



서유럽에 위치한 국가들은 대리석상이 많은 반면 북유럽 국가들은 청동상이 대부분이다.

비둘기 배설물이 지저분하네요.















헬싱키 대성당(핀란드어: Helsingin tuomiokirkko or Suurkirkko)


핀란드 루터교회 소속으로 헬싱키 교구에 속해 있다.

1917년 핀란드 독립 전까지는 성 니콜라우스 성당이라고 불렸다.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으로 만들어진 대표적인 성당이기도 하다.
헬싱키의 중심부에 있는 이 교회는 핀란드에서 유명한 관광 명소다.









후면에서 본 모습






대성당 좌측에 위치한 핀란드 국립도서관



핀란드 평민원(핀란드어: Säätytalo 새튀탈로) 건물

핀란드 평민원 건물은 헬싱키에 소재한 역사적 건물이다. 핀란드 국립은행 건물 맞은편에 위치해 있으며, 헬싱키 대성당 바로 북동쪽에 있다. 1891년 지어진 아름다운 건물이다.


핀란드 대공국의 입법기관인 핀란드 국회는 프랑스 왕국의 삼부회 같은 신분제 국회였는데, 총 4개 신분(귀족, 성직자, 시민, 농민)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 중 귀족들은 핀란드 기사원에 속하고,  나머지 세 신분은 평민원에 속한다. 1906년 의회개혁으로 신분제가 폐지되고 단원제 핀란드 의회로 바뀌면서 평민원도 사라지게 되었다.



오늘날 평민원 건물은 가끔 정부의 회합 장소로 사용된다. 또 총선거 이후 연정 구성을 논의하는 자리이기도 하며 고등탄핵재판소가 열리는 곳이기도 하다. 건물은 원로원 부동산이라는 법인을 통해 핀란드 공화국이 국유하고 있다.









평민원 건물 앞에 위치한 핀란드 국립은행(Suomen Pankki)



핀란드 국립은행 앞을 지키고 있는 핀란드의 민족주의 철학자이자 정치가 스넬만(Johan Vilhelm Snellman) 동상



스넬만(Johan Vilhelm Snellman)


핀란드의 민족주의 철학자이자 정치가. 
핀란드어를 국어로 확립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했다(펜노만 운동).

1835년 그가 헬싱키대학교의 철학강사가 되었을 때만 해도 핀란드는 러시아의 대공국에 불과했고 교양인들은 스웨덴어를 사용하고 있었다. 같은 해 핀란드의 민족서사시 〈칼레발라 Kalevala>가 출판되었고 이로 인해 핀란드에서는 민족문학을 세우려는 관심이 일기 시작했다. 1840년대부터 스넬만은 핀란드어를 국어로 채택하자는 운동에 앞장섰고, 관청과 학교에서 핀란드어를 사용하자고 주장했다.

1842년 〈정치과학 Läran om staten〉을 출판했는데, 헤겔 철학의 영향이 강한 이 책에서 그는 국가의 본질은 민족정신이라는 사상을 제시했다. 1844년 핀란드어로 쓴 〈농부의 벗 Maamiehen ystävä〉을 출판하고 1846년 폐간당한 스웨덴어 신문을 핀란드어로 발행하면서 민족문화생활을 고취하는 운동가로서 혁명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그뒤 〈칼레발라〉를 수집한 민속학자 엘리아스 뢴로트와 함께 〈일반 시민 문화를 위한 문예 뉴스 Litteraturblad för allmän medborgerlig bildning〉를 편집했다.

1856년 교수로 임명되었고 1863~68년 상원의원으로 일했다. 스넬만은 핀란드어 사용을 확대한 1863년 법령 선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 핀란드의 화폐기준을 루블에서 마르크로 바꾸는 데도 도움을 주었다. 1928~33년에 그의 〈전집 Kootut teokset〉이 출간되었다.(자료:Daum사전)






핀란드 국립은행 우측에 위치한 국가기록물 보관소



 헬싱키대성당 뒷편에 위치한 정교회(Holy Trinity Chu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