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일상의 photo

[서울 여름 녹음길 산책] 북악하늘길 산책로 <팔각정~숙정문 안내소>구간

수지인 2017. 8. 3. 12:00



제주도에 올레길이 있고, 각 지방에 둘레길이 있듯 서울에도 계절별로 시민들의 니즈에 부응하는 계절별 힐링길이 있다.
봄에는 꽃길이 있고, 여름에는 녹음길, 가을에는 단풍길이 바로 그 것이다.


2017년 서울 여름 녹음길 지정 현황을 보면 총 209개소 220.51km에 이른다.
유형별로 나누어 보면 공원 75개소, 가로 101개소, 하천변 21개소, 녹지대 11개소, 기타 1개소다.



↓↓이 산책로 진입로를 찾기가 쉽지않다. 팔각정에서 성북동으로 낼려가는 출발점에 수경사 철문과 바리케이트가 있어 접근이 꺼려지는 곳 우측(군부대 철창문 바로 우측)에 아래 사진과 같이은 성북동 숙정문으로 이어진다는 이정표가 있다.





↓↓이번 산책 코스는 북악 하늘길 북악스카이웨이 팔각정에서 한양도성 숙정문 안내소 간 약 840m 구간으로 김신조루투와 함께 가장 늦게 개방된 구간이다.





↓↓집에서 팔각정까지 왕복이 하루 산책 거리로 가장 적당하다.

그러나 오늘은 이슬비도 내리고 몽환적인 분위기가 유혹하여 조금 더 겯기로 한다.





↓↓서울시 선정 성북구 우수 조망 명소에 앞에 펼쳐진 서울시내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날씨가 좋아도, 오늘처럼 안개로 앞이 보이지 않아도 좋은 길이니 명품 산책로임에 틀림없다.





↓↓산책로에는 야간에 경계를 서는 초소가 아직도 운영되고 있는듯 하다.









↓↓이 길을 따라 내려가면 '북악하늘 나들기', '삼청공원', '숙정문'으로 이어진다는 이정표.





↓↓야간 경계에 필요한 야광페인트를 칠한 계단이 아직도 중요한 참호간 교통로임을 말해주고 있다.





↓↓군데군데 쉼터도 마련되어 있다.





↓↓나무데크로 깔끔하게 단장한 구간도 있다.









↓↓조금전 내려온 팔각정, 군사정권 시절 밀실정치 무대 삼청각(지금은 세종문화회관에서 운영하는 고급 대중음식점겸 전통문화 복합공간으로 이용), 김신조일당의 1.21사태 당시 총격전이 벌어져 지금도 총탄자국이 선명한 호경암으로 오르는 길임을 표시하고 있다.





↓↓이정표가 있는 삼거리에 위치한 성북천 발원지.

















↓↓북한산 유래와 이 길에 관해 개략적인 설명입니다.

사진을 클릭하시면 조금 큰 사진으로 편하게 읽으실 수 있습니다.





↓↓불과 800미터 구간에 2개의 쉼터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북한산 개방 안내 간판.

1968년 1.21사태 이후 출입을 금지했다가 2007년 4월 5일 열었으니 39년을 닫아두었던 길이다.





↓↓한양도성 숙정문 안내소 바로 앞 이정표.

서울시 직원과 수경사 군인이 합동으로 안내를 한다. 숙정문은 해체 보수공사 중이어서 2018년 1월까지 관람할 수 없다.





↓↓성북동 방향으로 조금 내려오면 제62회 식목일 북한산 전면개방 기념 조림 표석이 있다.

2007년 4월 5일 노무현대통령이 39년만에 시민의 품으로 돌려준 길이다.





2017. 07. 28.
북악하늘길 북악팔각정~숙정문 안내소 구간